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간편 가이드

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가 바로 '주휴수당'입니다. 복잡한 계산식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죠. 이럴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알바몬의 주휴수당 계산기입니다. 💡🧮
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위치
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는 PC와 모바일 모두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합니다.
📍 PC 이용 시
알바몬 홈페이지 → 상단 메뉴 '알바 토크' → '알바의 상식' → '알바 급여계산기'
📱 모바일 이용 시
알바몬 앱/웹 → 좌측 하단 '전체메뉴' → '간편! 알바툴' → '급여계산기'
입력해야 할 기본 정보
계산기를 이용하려면 기본적인 근무 조건 3가지를 입력해야 합니다:
1️⃣ 시급
근로계약서 또는 실제 시급 입력
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2️⃣ 일일 근무시간
하루에 몇 시간 근무하는지 입력
3️⃣ 주간 근무일수
주에 며칠 일하는지 정확히 입력
💡 추가 옵션: 월 연장근무시간, 세금 공제 여부까지 입력하면 예상 실수령액도 보다 정확하게 나옵니다.
주휴수당 계산 방식
계산기는 고용노동부 기준 공식에 따라 주휴수당을 계산합니다:
주휴수당 = 주간 근로시간 ÷ 40 × 8 × 시급
✅ 주휴수당 지급 조건
-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지급 대상
- 결근 없이 정해진 근무일을 채워야 함
- 주 40시간 초과 시에도 계산 기준은 40시간까지만 인정
📊 계산 예시
조건: 시급 10,030원, 주 5일 × 하루 8시간 근무
- 주급 = 10,030원 × 40시간 = 401,200원
- 주휴수당 = 10,030원 × 8시간 = 80,240원
- 총급여 = 481,440원
주의사항
⚠️ 중요: 주휴수당은 해당 주에 결근이 없어야 지급됩니다. 하루라도 무단결근하면 그 주의 주휴수당은 받을 수 없습니다.
⚠️ 필수 확인사항
- 근로계약서에 근무 요일과 시간 명확히 기재
- 최저시급보다 낮은 시급 받는 경우 법적 문제
- 아르바이트, 계약직 등 형태 무관하게 적용
📞 문의 기관
- 고용노동부 상담센터: 1350
- 온라인 신고: 고용노동부 홈페이지
- 지역 노동청: 관할 지역 방문
자주 묻는 질문
Q. 주휴수당은 꼭 줘야 하나요?
A. 네.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결근 없이 근로계약서상 일정을 지킨 경우,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법정 수당입니다.
Q.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?
A. 물론입니다. 아르바이트, 일용직, 계약직, 고용형태에 상관없이 조건만 충족하면 주휴수당 대상입니다.
Q. 계산기 결과가 실제 급여와 다르면?
A. 회사의 규정, 수습 여부, 공제 항목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 근로계약서 확인 후 고용노동부 상담도 가능합니다.
마무리
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는 아르바이트 근로자들이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확인하고, 정확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.
주휴수당은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입니다.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일한다면 반드시 받을 수 있는 수당이므로, 계산기를 활용하여 본인의 권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보호하시기 바랍니다.